老子 제2장 - 스스로 공을 내세우지 않는다.
天下皆知美之爲美, 斯惡已. 皆知善之爲善, 斯不善已.
천하개지미지위미, 사악이. 개지선지위선, 사불선이.
故有無相生, 難易相成, 長短相較,
고유무상생, 난이상성, 장단상교,
高下相傾, 音聲相和, 前後相隨.
고하상경, 음성상화, 전후상수.
是以聖人, 處無爲之事, 行不言之敎.
시이성인, 처무위지사, 행불언지교.
萬物作焉而不辭, 生而不有, 爲而不恃, 功成而不居.
만물작언이불사, 생이불유, 위이부시, 공성이불거.
夫唯不居, 是以不去.
부유불거, 시이불거.
--------------------------------------------------------------
天下皆知美之爲美, 斯惡已. 皆知善之爲善, 斯不善已.
천하개지미지위미, 사악이. 개지선지위선, 사불선이.
(오)악이라고 해석하면 안 되고 추하다고 이해
사람들이 아름답다 하니 아름다운 줄 알지만 이는 추악한 것이 있기 때문일 뿐이고,
-이는 아름다움의 가치가 주관적일 수 있다. 이는 우리가 말하는 가치관이 과연
무엇인가의 근본적인 물음이고
선하다고 하니 선한 줄 알지만 이는 선하지 않은 것이 있기 때문일 뿐이다.
-중국 고전에서는 선(善) 의 반대 개념은 악이 아니고 불선(不善)이다.
이는 아름답다 미의 대치는 악이 아니고 추한 것이라 한다면
선 도 악이 반대 개념이 아니고 불선이 존재 한다. 고 말하고 있다.
이는 서양의 선과 악 과 같이 이원적인 논리와 달리 논리적 이원성을 말하지
않고 선은 악이 될 수 있고 악이 될 수 있다는 가치관을 말한다.
故有無相生, 難易相成, 長短相較,
고유무상생, 난이상성, 장단상교,
그러므로 있는 것과 없는 것은 서로가 상생 하는 것이고
어렵고 쉬운 것이 서로가 이루고, 길고 짧은 것은 서로 비교되는 때문이다
-이는 서로 비교되는 것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고 상대적인 것이다. 라는 의미다.
高下相傾, 音聲相和, 前後相隨.
고하상경, 음성상화, 전후상수.
높고 낮은 것이 서로 기울어지고, 음과 성은 서로가 있어야 조화를
이루고, 앞과 뒤는 앞이 있어야 뒤가 따르는 것이다.
-음성상화에서 음은 규칙을 갖은 소리이고 성은 소리 즉 소음이다.
음계와 사운드는 조화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현대 음악적 요소를 이미
말하고 있다. 이는 서로 비교되는 것도 극히 자연의 일부이니 언제나
조화를 이룰 수 있다는 논리이다.
是以聖人, 處無爲之事, 行不言之敎.
시이성인, 처무위지사, 행불언지교.
그런 까닭에 성인은 작위 함이 없이 일을 처리하고, 말하지 않고 가르침을 행한다.
-무위지사 : 함이 없는 행위(일변에 고착되지 않은 넓은 행위)
萬物作焉而不辭, 生而不有, 爲而不恃, 功成而不居.
만물작언이불사, 생이불유, 위이부시, 공성이불거.
천지자연은 만물을 활동하게 하고도 노고를 사양하지 아니하며, 만물을 생육하게
하고도 소유하지 않는다. 행하고도 자랑하지 않고, 공을 이루어도 자기의 공로를
자처하지 않는다.
夫唯不居, 是以不去.
부유불거, 시이불거.
그러기 때문에 공은 그에게서 떠나가지 않는다.
-----------------------------------------------------------------
중국의 노자 사상 시대의 춘추 전국(봉건제도)과 제자백가의 출현 배경 설명
일반적인 역사를 보는 사관은 역사는 발전한다는 발전사관으로 보기 쉽다.
발전사관의 근거가 발생된 것은 기독교적인 사관의 영향이 크다.
이는 창세기부터 종말 까지 일률적인 하나의 이야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근대 독일관념론의 완성자인 헤겔(Hegal 1770~1831)에 의해 확대 발전
되었는데, 칼 막스(Marx 1818~1883 공산주의성전 “자본론”의 저자)에 의해
물질적인 토대 위에 역사 발전단계를 완성하여 제시 하였는데
1 원시공산사회 2 노예제사회 3 봉건사회 4 자본주의사회 5 공산사회 순으로
발전했다는 획일적 사관을 주장하였다.
이는 실제로 발생된 수많은 역사의 실존과는 맞지 않는 역사관이다.
즉 중세 사회는 대부분 봉건사회로 이루어 졌다는 부분을 보더라도
봉건제도(Feudalism)는 중앙의 집권적 체제가 아닌 지역 영주가 일정의 토지를
갖고 군사 정치 경제 등의 독립적 자치권을 가지며 이런 많은 봉토지역의 일정의
작은 국가형태로 이루어진 제도를 중앙의 왕이 전반적으로 조율만 하는 형태이다.
이는 우리나라 조선의 왕의 중앙집권관료 체제와는 전혀 맞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중세의 봉건제도가 우리의 역사의 실제 흐름과는 전혀 맞지 않다.
즉 전 세계적인 역사발전 단계의 획일적인 사관은 맞지 않은 학설임을 알 수 있다.
실제적인 봉건적인 사례는 중국의 주나라와 유럽의 중세사회와 명치유신 이전의
일본의 에도시대의 막부가 봉건제도로 볼 수 있다.
즉 일본의 명치유신은 에도시대의 봉건제도를 그치고 중앙집권적 체제를 만들자
고 하는 것이 명치유신의 기본 정신이다.
이는 한. 일 합방이후 일본이 우리나라를 지배할 때 조선시대의 중앙집권적 체제
가 일본지배 체제에 무리 없이 섞여질 수 있는 배경이 될 수 있었다.
이는 사실 현재의 우리의 의식 속에는 아직도 관료주의 양반체제의 잠재의식을
가지고 있게 되는 역사적인 배경이자 서양도식에 맞지 않는 현실적 근거다.
여기서 다시 주나라의 봉건제도를 다시 살펴보면 주나라의 왕 주변의 많은 제후
국들 두고 있었는데 주나라의 봉건주의의 중앙의 왕이 세력이 약해지자 패도(覇道)
시대가 일어나 시작 했는데 이는 중앙의 힘이 약해지면 각 지역의 패권이 대두되
는 시기이다. 그러나 반면 패도의 시대 춘추전국시대를 맞아 다양한 문화적 형태가
발전하게 되는 계기가 된다.
당시 지식은 史官 과 祝官의 세력에 의해 점유 되던 시기인데 사관은 역사를 기술
하던 세력이고 축관은 일종의 천문 역학의 일을 담당하던 궁정 엘리트 세력들이다.
그런데 춘추시대를 맞아 패망한 패권 세력에 있던 사관과 축관은 낙향을 하게 된다.
또한 패도의 시대에는 많은 패권을 갖은 제후들은 많은 지식인들을 참모로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낙향한 사관과 축관 세력에 의해 교육을 의뢰하게 되고 그 교육을 통해 입
신양명의 기회로 삼으려는 지역에 개인들의 움직임이 대세를 이루게 된다.
그 세력들이 곧 사회적인 사설 교육기관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고 더욱 발전된 형태가
바로 제자백가의 이름으로 자유로운 사상과 학문적 번성을 이루게 된다.
이것이 봉건사회에서 춘추전국시대의 발생 배경과 그에 따른 제자백가의 출현의
토대가 된 것이다. 이것이 또한 선비의 문화계급의 등장을 만들게 된다.
이 당시 노나라의 다양했던 사상적, 학문적 家 중의 하나가 바로 공자이다.
사마천의 사기(史記)속에 노자한비열전에 보면 공자가 주나라에 가서 노자에게 예를 물
었다. 하는 기록이 있다.
이로서 노자의 도가 사상을 비롯한 공자의 유가 등 다양한 사상적 논거들이 다양하게
나타나기 시작 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