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강 사랑채

마쓰모토 레이지의 작품세계 - 레이지버스

벽강박성재 2007. 2. 14. 01:46

 

 

 

은하철도999의 만화에 향수를 느끼는 세대라면 그 당시 많은 애니메이션의 이름을

떠 올릴 것이다.

우주전함V호, 우주해적 캡틴하록 등등 그 당시에는 그런 만화들의 작가가 누구인지

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어린시절 동심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 작품들의 작가가 마스모토 레이지 이다.

1938년 생인 레이지는 어린시절 우리에게는 “강철주먹 아톰”으로 알려져 있는 일본

의 애니메이션의 대부격 데스카 오사무의 화실에 드나들던 전형적인 데스카맨이었다.


그러던 그가 1974년 우주전함 야마토를 시작으로 자신의 기나긴 여정의 작품의 이

야기를 지금까지 이어 오고 있다.

그가 발표 해 왔던 천년여왕 은하철도999 캡틴하록 에메랄다스 등은 전체적인 이야기

가 일맥상통 하는 긴 이야기 구조를 가지고 있다.

작품의 발표 시기가 앞뒤가 서로 다르다는 것 외에 전체적인 맥락으로 서로의 스토리

가 계속 연결 되어지는 그의 작품에 빠진 매니아들은 그래서 레이지버스 라는 이름

으로 그의 작품 세계를 이야기 한다.

이러한 형태는 사실 일본문화의 한 형태다. 레이지 뿐만이 아니라 일본의 많은 작가

들이 이러한 기나긴 형태의 이야기를 가지고 자기만의 세계에 전제적 입장에서 이야

기를 이끌어 가는 것은 국한된 부분 안에서는 완벽한 자기 세계의 구축을 아주 좋아

하는 일본인들의 문화적 정서에 기인하다.

그러한 문화적인 산물이 특별히 일본에 많고 또 그것을 적극적으로 좋아하고 따르는

매니아 문화는 지극히 일본적인 것으로 이해된다.


그것이 일본적인 문화의 산물이던 무엇이던 간에 어린시절 동심에 많은 꿈과 희망을

갖게 했던 추억의 그의 작품의 세계를 한번 들어가 보자


그의 이름을 알리는데 많은 공헌을 했던 우주전함 야마토는 1974년 모험왕이라는

연재 만화책에 실리기 시작했다.

방사능으로 오염된 지구를 구하기 위해 머나먼 우주의 여행을 하게 되는 야마토를

주제로 다룬 작품인데 그 작품을 들여다보면 아연실색한 장면이 연출된다.

전범의 국가 일본의 전함 야마토가 본인들의 침략전쟁에 참가 연합군에 침몰한 것

을 장엄한 최후를 마친 전쟁영웅으로 표현한 점이다.

그 야마토를 재건하여 우주전함으로 재탄생 시킨 것이 이야기의 시작이다.

이를 두고 데스카 오사무 조차 당시 다음과 같이 언론에 말했다.

“만화나 애니메이션은 문화적 자산으로 살아남을 수 있는 작품이 필요하다. 지금

대히트를 하고 있는 우주전함 야마토가 과연 보편성이 담겨 있는가 없는가?“


이는 일본 군국주의를 부추기는 우익성향의 치우친 작가주의에서 그의 사상이 어

떠한가를 짐작할 수 있는 부분이다.

어찌 되었던 이 작품을 통해 레이지는 그의 작품세계의 서막을 열기 시작한다.

그의 작품을 방영순서대로 보면 다음과 같다.

 

1.  우주해적 캡틴하록-TV판 ('78.3.14 ~ '79.2.13)

2.  은하철도999-TV판 ('78.9.14 ~ '81.3.26)

3.  은하철도999-극장판 ('79)

4.  천년여왕-TV판 ('81.4.16 ~ '82.3.25)

5.  안녕 은하철도999, 안드로메다 종착역-극장판 ('81.8.1)

6.  내 청춘의 아르카디아-극장판 ('82.7.28)

7.  내 청춘의 아르카디아 무한궤도SSX-TV판 ('82.10.13 ~ '83.3.30)

8.  은하철도999 이터널 판타지-OVA ('98)

9.  퀸 에메랄다스-OVA ('98)

10. 메텔 레전드-OVA ('02)

11. 캡틴 하록 아웃사이드 레전드-OVA ('02 ~ '03)

12. 우주 교향시 메텔 -TV판 ('04)

---------------------------OVA는 비디오 버전으로 출시된 작품임


그러나 이야기의 전개 순서로 본다면 천년여왕을 시작으로 이야기가 시작 된다.

천년여왕은 1999년의 지구를 배경으로 한다. 천년을 주기로 태양을 도는 라메탈은

그들의 생존을 위해 유키노 야요이를 보내 지구인들을 납치해 보내는 임무를 띠지

만 아마모리 하지메와의 우정과 사랑을 통해 어머니 라메탈 여왕과 대적 하게 되고

지구를 구하게 되지만 결국 그녀는 우주로 사라지게 된다.

여기서 스토리상의 야요이는 죽게 된 것인지 우주로 사라진 것인지 불분명한데 이를

이어 스토리가 전개 되는 것이 메탈 레전드OVA이다.


여기서는 지구를 포기한 라메탈이 결국 살 수 없는 환경이 되자 하드기어라는 사악한

과학자의 권유로 모두 기계화 몸을 받기로 결정하는 프로메슘 여왕이 결국 야요이로

설정된다. 기계화 몸을 먼저 받은 프로메슘은 인간성을 점점 상실해 가고 마지막 남은

인간성에 의지해 두 딸인 메텔과 에메랄다스를 은하철도999를 통해 탈출시킨다.


이로서 은하철도 999에 등장하는 메텔과 은하철도 그리고 기계화몸 등의 모든 요소

가 시작 되게 된다.

이로서 방영된 모든 작품들은 사실상 스토리의 연결고리를 가지고 작품 중간중간에

서로의 캐릭터들이 교차 출연하면서 복잡하게 스토리가 연결 되게 된다.

그리하여 모든 작품들을 다 감상하면 그 이야기의 전반적인 윤곽이 드러나게 된다.

실제 이야기 순으로 보자면 다음과 같다.


천년 여왕 TV판 ☛ 메텔 레전드OVA ☛ 우주 교향시메텔TV판  

☛내 청춘의 아르카디아 극장판 ☛  내 청춘의 아르카디아 무한궤도SSX TV판

☛ 은하철도 999 TV판 및 극장판 ☛  안녕 은하철도 999, 안드로메다 종착역극장판

☛ 퀸 에메랄다스OVA ☛ 우주해적 캡틴하록 TV판 ☛ 은하철도999 이터널판타지OVA

☛ 캡틴하록 아웃사이드 레전드OVA


복잡하고도 기나긴 이 작품을 두루 감상하고 나면 그 전개 이야기나 캐릭터간의

상호 관계가 대략 이해되는 방대한 분량의 작품이다.

간략히 캐릭터간의 이야기를 정리해 본다면 다음과 같다.

 

천년여왕 유키노 야요이는 프로메슘 여왕이 되고 메텔과 에메랄다스는 쌍둥이로 

프로메슘 여왕의 딸이다.

메텔은 프로메슘 여왕에 의해 테츠로의 어머니의 젊었을 때의 몸을 갖게 된다.

흑기사 파우스트는 테츠로의 아버지로써 하록과 오랜 친구 사이이다.

또한 파우스트와 테츠로는 천년 여왕에 등장하는 아마모리하지메의 후손이다.

하록은 에메랄다스의 동료이고 메텔과도 잘 아는 사이이다.

하록의 연인은 마야이다. 한편 토치로는 하록의 영원한 친구이고 아르카디아

호를 만들었다. 또한 토치로와 에메랄다스는 연인이 되며 하록이 그의 딸인

마유를 돌보게 된다. 그리고 그의 혼은 아르카디아 호에 들어간다.

하록은 파우스트와의 오랜 우정 때문에 때때로 테츠로를 구해주곤 한다.

그리고 테츠로는 토치로의 코스모건을 선물로 받게 된다.

이야기 전체에 걸쳐서 보면 야요이와 하지메, 시작한 이야기가 메텔과 테츠로의

관계로 반복되는 형태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미 메텔은 테츠로의 어머니의 몸을 가진 상태가 되었고 때문에 그들의

사랑은 육체적으로는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었다.

이 때문에 그들은 항상 이별할 수밖에 없는 운명적 설정이 되어버린 것이다. 

예전에는 천년 여왕  야요이가 메텔이라는 설이 지배적이었다. 필자도 야요이의

설정이 어정쩡하다고 느낀 부분인데, 그러나 메텔 레전드에서 야요이가 프로메슘

임이 분명해 짐에 따라 이 부분은 정리가 된 셈이다.

또한 이 긴 이야기는 사실 구석 구석 많은 스토리상의 허점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마쓰모도 레이지 감독이 전체 스토리를 구성을 하여 작품을 전개해 나간

것이 아니라 작품을 전개해 나가면서 그때 그때 이야기를 구성해 나간 것이기 때문

으로 보이는데, 예를 들면 부활한 천년 여왕인 메텔은 테츠로의 어머니의 몸을 갖게

되었는데 어째서 천년 여왕과 같은 외모를 지니게 되었는지의 여부나 라메탈 행성은

왜 안드로메다의 행성이 되었는지의 여부는 이해하기가 매우 어려운 부분일 것이다.

사실 은하철도999의 방영분만 해도 113편에 해당한다. 천년여왕이 42편 등 전체적

인 감상에 많은 시간이 필요한 작품들이다.

필자도 이 모든 작품들을 다 수집해서 감상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렸다.

현재 일본에서는 캡틴 하록의 이야기가 전개 되고 또한 이 모든 캐릭터들이 출연하

는 작품을 작가가 구상 중이라고 한다.

추후의 발표되는 이야기도 어떻게 전개 될지 무척 궁금하기도 하다.


우리들이 어릴때 막연히 티비에 방영되었던 추억의 작품들을 한번 되새겨 보고

싶은 마음에서 마스모토 레이지의 작품을 대략 정리해 보았다.


'벽강 사랑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벽강역학원카페방문  (0) 2007.05.04
[스크랩] 花鬪 48장  (0) 2007.05.04
오천년 단일민족의 허망함  (0) 2007.01.13
오! 이순신장군이여 2부..  (0) 2005.07.14
오! 이순신 장군이여 1부...  (0) 2005.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