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命理로 본 孔子의 생애
丙 庚 癸 己
子 子 酉 酉
73 63 53 43 33 23 13 3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공자의 아버지 공흘은 자가 숙량이었다. 그러므로 보통 숙량흘(叔梁紇)이라고
불리우고 있다. 어머니 안징재(顔徵在)는 공자를 낳을 당시 10대의 어린 소녀
였다. 60세가 넘은 숙량흘은 안씨의 셋째 딸을 후처로 맞이한 것이다.
공자의 출생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이설이 존재하는데 필자는 武官이었던 아버
지가 노년에 무당집안 딸이었던 어린 여인을 얻어 야합(野合)으로 생겨난 자식
으로 판단하고 있다.
그의 머리 가운데는 들어가고 나온 데가 있어 이름을 구(丘 : 언덕)라고 했다고
한다. 자는 중니(仲尼)이다. 武人이었던 공자의 부친은 그가 세 살 때 돌아가시
고, 모친은 그가 24세 때 세상을 떠났다.
命理的으로 해석해 본다면 경금(庚金) 일주(日柱)가 백로(白露) 후 상강(霜降)
전에 출생한 사주로 金氣가 강해지는 시기로서 경금의 일주가 강하다.
또한 년주(年柱)와 월주(月柱)의 유금(酉金)의 양인(陽刃)을 놓고 년주의 기토
(己土)의 생(生)을 받고 있어서 더욱 금기(金氣)가 매우 강하다.
물상적으로 이러한 강한 금기의 경금의 소유자는 강인한 체력과 정신력을 바탕
으로 해내고자 하는 것은 반드시 해내겠다는 의지력의 소유자다.
이러한 사주의 경우 대귀(大貴)라는 점에서 본다면 강한 경금을 제련하고 단련
시킬 수 있는 강한 화(火) 인 병(丙)과 정(丁)이 있어야 하는데 시주(時柱)에
병화(丙火)가 있으나 지지(地支)의 어디에도 뿌리를 내릴 수 없고 더구나 병화
의 앉은 자리인 자수(子水)에 강한 극(剋)마저 받고 화(火)를 생하여 줄 목(木)
의 근원조차 전무하다.
따라서 이러한 강한 금기운을 병화(丙火)로서 단련한다는 것은 불가능하고 월
주(月柱)의 계수(癸水)로 그 기운을 흘러가게 하는 이른바 월봉상관격(月逢傷
官格)이다.
이 기운이 다시 목(木)의 기운으로 흘러 상관생재(傷官生財)의 기운으로 흘러
야 하는데 재(財)로 이어지지 않고 대운(大運)에서 조차 있는 재의 운이 사주 내
의 유(酉)의 겁재(劫財)의 탈재(奪財)를 받아 결국 부(富)와 귀(貴)를 모두 이루
지 못하는 격이다.
월봉상관(月逢傷官)의 특징은 자신의 뜻과 이상은 크나 그 기운이 관(官)과 재
(財)를 만나지 못하면 말 많은 허풍선이와 같은 격이 되기도 하는데, 또한 자신
의 재주로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든 서슴없이 저지르는 단점도 가질 수 있는
데 물형적(物形的)으로 가장 강한 경금(庚金)의 금(金)기운의 강한 기운이 월주
(月柱)의 월봉상관으로만 그 흐름이 이어져 이러한 기운이 더욱 강한 성향이다.
시,서,예,악,역,춘추(詩,書,禮,樂,易,春秋)의 6경의 기초를 놓았다고는 하나 술
이부작(述而不作)이라는 단어로 마치 자신의 저술이 객관적인 듯한 인상을 남기
고 동북아시아의 깊은 역사적 연원의 역리의 세계를 지나인 중심의 역사관점으
로 돌려 버리는 능란함을 부린 것은 이러한 월봉상관 의 강한 경금의 기운이었기
때문이라고 보인다.
계수(癸水)의 구름 안개가 병화(丙火)의 관성(官星)을 가리우니 흑운차일(黑雲
遮日)의 격이 되어 벼슬길이 늘 순탄치 않았다. 金기운을 설(洩)하는 상관인 계
수(癸水)를 용신(用神)으로 쓰니 자신의 재주와 재능은 넘쳐 났다고 보겠다.
다행히 년주(年柱)에 인성(印星)이 있어 상관폐인(傷官廢印)이 되어 관에 도전하
거나 항거하는 반골적인 강한 성향은 없게 되고 지위 없는 명예를 얻게 되는 것이
라 보겠다.
또한 품성은 상관폐인 되어 부정부패와는 거리가 있는 성품이라고 보겠다.
사주 내에 2개의 유금(酉金)과 2개의 자수(子水)가 있어 금수쌍청(金水雙淸)이
되어 금수상관(金水傷官)의 성향으로 일생 제자가 따르고 학문을 전수하는 것에 뜻
을 두게 되는 격이 되었다.
五行少者必貪 五行多者必厭
오행소자필탐 오행다자필염
오행가운데 양이 적은 오행을 탐하게 되고
오행이 지나치게 많으면 반드시 싫증을 낸다.
위에 말처럼 관(官)의 허전함과 없는 재(財)를 구하고자 하나 결국 이루지 못하고 금기운으로 기운이 몰리는 성향의 격과 함께 금수상관(金水傷官)의 금수쌍청(金水雙淸)의 성향으로 말년에 안빈낙도(安貧樂道)의 삶으로 마감한 것으로 귀결된다.
감명요결에 이르길 - 肩劫太旺 流泣竹杖 견겁태왕 유읍죽장
.壬申 大運의 3살 辛亥年에 부친 사망
신금(辛金) 겁재(劫財)가 원국 유금(酉金)과 대운 신금(申金)과 강한 세력을 형성하여 재를 극하는 것이 되니 해(亥)의 지장간 갑목(甲木)인 편재(偏財) 부친에게 재앙이 임한다.
기토(己土) 正印의 상관폐인(傷官廢人)의 영향으로 어려서는 현명한 모친의 가정교육이 이루어졌다.
년주(年柱) 와 월주(月柱)의 도화(桃花)가 임해서 일찍 조혼이 된다.
.신미(辛未) 대운
19세 정묘(丁卯)년에 결혼하다.
卯未 合 木 하고 丁卯의 丁火와 丙火가 大運地支 未에 通根하여 卯未 合木하고 木生火 하여 金의 剋制를 보호하여 결혼이 성사된다.
20세 戊辰년에 아들 리(鯉)가 출생한다.
戊土가 월주 癸水를 剋合하여 傷官이 官煞을 극하지 않아 관살이 살아나고 대운 未土가 관살의 뿌리가 되어 아들을 얻는다.
庚午 己巳 大運
이 시기 丙火가 대운地支 巳 와 午에 祿 旺을 놓아 庚金을 단련하여 학문이 왕성해지고 벼슬길에 나감.
巳火가 空亡에 이르러 벼슬길들이 오래가지는 못함.
이 시기 정치 실현을 꽤 하고자 한 노나로 제나라로 다시 노나라로 돌아오는 등 벼슬길의 官의 길은 순탄치가 않다.
戊辰 大運
戊辰 대운은 月柱 癸酉와 戊癸合 하고 辰酉合 金으로 서로 合을 하니 癸水가 官星을 극하지 못하고 酉金이 財를 剋하는 것을 주춤하니 모든 것이 순탄해진다. 실질적으로 공자의 인생에 황금기라고 할 수 있었다.
이 당시 노나라의 대사구가 되어 협곡의 희맹을 주관하여 제나라로부터 3개의 성을 반환받고 노나라가 안정된다.
丁卯 大運
傷官見官 爲禍百端
상관견관 위화백단
丁火 正官과 傷官 癸水가 서로 부딪치니 傷官見官이고 卯와 酉가 沖하니 남북 동서의 사방이 沖하고 天干 地支가 沖하니 매우 흉하다. 특히 酉金 陽刃의 月支인 提綱이 沖하니 더욱 그러하다.
이 시기 모든 공직에서 물러나 주유열국의 상태로 들어가고 송나라의 광 땅에서 양호로 의심한 백성들에게 포위되어 목숨이 위협받고 송나라에서 사마 환퇴가 공자를 살해하고자 하는 위험에 빠진다. 온갖 역경에 임하게 된다.
68세 丙辰년에 노나라에 돌아온다.
丙寅 大運
丙寅의 丙火는 印綬 己土를 生하여 이 시기는 결국 안빈낙도의 상황에서 제자를 가르치는 일에 전념한다.
印綬의 己土는 교육을 상징하게 된다.
73세의 辛酉년 癸巳월 己丑일에 세상을 떠남.
寅은 庚金의 絶地가 된다.
다음 大運 乙丑의 丑은 庚金의 墓庫이다.
'사주팔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학에 입문하시려는 분들께 당부말씀 올립니다. (0) | 2011.07.08 |
---|---|
벽강역학연구원 강의 수강 안내 (0) | 2010.11.05 |
천부경(天符經)의 이해를 통한 우리문화로서의 음양오행 (0) | 2008.02.19 |
三伏(삼복)의 소식....... (0) | 2007.07.27 |
동양오술(東洋五術)에 관한 고찰 (0) | 2007.05.09 |